<원문>
子曰。回之爲人也。擇乎中庸。得一善。則拳拳服膺而弗失之矣。
자왈。회지위인야 。택호중용 。득일선。즉권권복응입루실지의。
<직역>
선생님(子)이 말씀하시기(曰)를 “회(回)의(之) 사람(人)됨(爲)은(也) 중용(中庸)에서(乎) 골(擇)라 하나(一)의 선(善)을 얻(得)으면 곧(則) 마음에 깊이 새겨 잊지 아니하(拳拳服膺)고(而) 그것(之)을 잃(失)지 않(弗)았다(矣).”
<해석>
선생님이 말씀하시기를 “회(回)의 사람됨은 중용(中庸)에서 골라 하나의 선(善)을 얻으면 곧 마음에 새겨 잊지 아니하고 그것을 잃지 않았다.”
<선행연구>
『중용장구(中庸章句)』
回。孔子弟子顔淵名。拳拳。奉持之貌。服。猶著也。膺。胸也。奉持而著之心胸之間。言能守也。顔子蓋眞知之。故。能擇能守。如此。此。行之所以無過不及而道之所以明也。
회(回)는 공자(孔子)의 제자(弟子)인 안연(顔淵)의 이름(名)이다. 권권(拳拳)은 받들어 지님(奉持)의(之) 모양(貌)이고 복(服)은 붙임(著)과 같(猶)다(也). 응(膺)은 마음(胸)이다(也). 받들어 지니(奉持)면서(而) 마음속(心胸)의(之) 사이(間)에 그것(之)을 붙이(著)면 능히(能) 지킴(守)을 말한(言)다(也). 안자(顔子)는 생각건대(蓋) 참으로(眞) 그것(之)을 알(知)았다. 그러므로(故) 능히(能) 고르(擇)고 능히(能) 지킴(守)이 이와 같(如此)다. 이것(此)은 행(行)의(之) 과불급(過不及)이 없(無)는 까닭(所以)이고(而) 도(道)의(之) 밝(明)은 까닭(所以)이다(也).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