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子曰。人皆曰。予知。驅而納諸罟擭陷阱之中。而莫之知辟也。人皆曰。予知。擇乎中庸。而不能期月守也。
자왈。인개왈。여지。구이납저고확함정지중。이막지지피야。인개왈。여지。택호중용。이불능기월수야。
<직역>
선생님(子)이 말씀하시기(曰)를 “사람들(人)은 모두(皆) ‘나(予)는 안(知)다’고 말하(曰)나 빨리 달리(驅)면서(而) 그물(罟)과 덫(擭)과 함정(陷阱)의(之) 안(中)에(諸) 들어가(納)고(而) 그것(之)을 피할(辟) 줄 알(知)지 못한(莫)다(也). 사람들(人)은 모두(皆) ‘나(予)는 안(知)다’고 말하(曰)나 중용(中庸)에서(乎) 고르(擇)지만(而) 만 한 달(期月)동안 지킬(守) 수 없(不能)다(也).”
<해석>
선생님이 말씀하시기를 “사람들은 모두 ‘나는 안(知)다’고 말하나 빨리 달리면서 그물(罟)과 덫(擭)과 함정(陷阱)의 안에 들어가고 그것을 피할 줄 알지 못한다. 사람들은 모두 ‘나는 안(知)다’고 말하나 중용(中庸)에서 고르더라도 만 한 달동안도 지킬 수 없다.”
<선행연구>
『중용장구(中庸章句)』
罟。網也。擭。機檻也。陷阱。坑坎也。皆所以掩取禽獸者也。擇乎中庸。辨別衆理。以求所謂中庸。卽上章好問用中之事也。期月。匝一月也。言知禍而不知避。以況能擇而不能守。皆不得爲知也。
고(罟)는 그물(網)이다(也). 확(擭)은 짐승을 잡는 함정(機檻)이다(也). 함정(陷阱)은 구덩이(坑坎)이다(也). 모두(皆) 날짐승과 길짐승(禽獸)을 허술한 틈을 타(掩) 잡(取)는 방법(所以)인 것(者)이다(也). ‘중용(中庸)에서(乎) 고른(擇)다’는 여러(衆) 이치(理)를 가리어 알(辨別)아 그것으로써(以) 소위(所謂) 중용(中庸)을 구함(求)이니 곧(卽) 윗장(上章)의 묻기(問)를 좋아하(好)고 중(中)을 씀(用)의(之) 일(事)이다(也). 기월(期月)은 꽉 찬(匝) 한(一) 달(月)이다(也). 재앙(禍)을 알(知)면서(而) 피할(避) 줄 알지 못함(不知)을 말씀하(言)시어 그것으로써(以) 고를(擇) 수 있(能)으나(而) 지킬(守) 수 없음(不能)을 비유하(況)셨다. 모두(皆) 지혜(知)가 되(爲)지 못한(不得)다(也).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