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26일 일요일

중용자잠 11-子曰。舜其大知也與。舜好問以好察邇言。

<원문>

子曰。舜其大知也與。舜好問以好察邇言。

隱惡而揚善。執其兩端。用其中於民。

其斯以爲舜乎。

자왈。순기대지야여。순호문이호찰이언。

은악이양선。집기양단。용기중어민。

기사이위순호。


<직역>

선생님(子)이 말씀하시기(曰)를 “순임금(舜)은 아마도(其) 대지(大知)이리라(也與). 순임금(舜)은 묻기(問)를 좋아하시(好)고(以) 가까(邇)운 말(言) 살피기(察)를 좋아하(好)셨다. 악(惡)을 숨기(隱)시고(而) 선(善)을 칭찬하(揚)셨다. 그(其) 양단(兩端)을 잡(執)아 백성(民)에게(於) 그(其) 중(中)을 쓰(用)셨다. 아마도(其) 이것(斯)이 순임금(舜)이라 여기(以爲)는 것이겠지(乎).


<해석>

선생님이 말씀하시기를 “순임금(舜)은 아마도 뛰어난 지혜(知)이리라. 순임금(舜)은 묻기를 좋아하시고 가까운 말 살피기를 좋아하셨다. 부족한 점(惡)을 숨기시고 옳은 점(善)을 칭찬하셨다. 그 양단(兩端)을 잡아 백성(民)에게 그 중간을 쓰셨다. 아마도 이것이 순임금(舜)이라 여기도록 하는 것이겠지.


<선행연구>

『중용장구(中庸章句)』

舜之所以爲大知者。以其不自用而取諸人也。邇言者。淺近之言。猶必察焉。其無遺善可知。然於其言之未善者。則隱而不宣。其善者則播而不匿。其廣大光明又如此。則人孰不樂告以善哉。兩端。謂衆論不同之極致。蓋凡物皆有兩端。如小大厚薄之類。於善之中。又執其兩端而量度以取中然後用之。則其擇之審而行之至矣。然。非在我之權度精切不差。何以與此。此知之所以無過不及而道之所以行也。

순임금(舜)의(之) 뛰어난(大) 지혜(知)가 된(爲) 까닭(所以)이라는 것(者)은 그(其)가 스스로(自)만 쓰(用)지 않(不)고(而) 타인(人)에서 그것(諸)을 받아들임(取)으로써(以)이다(也). 가까(邇)운 말(言)이라는 것(者)은 깊숙한 맛이 없이 얕음(淺近)의(之) 말(言)이나 오히려(猶) 반드시(必) 살피(察)셨다(焉). 그것(其)은 남김없이 모조리(無遺) 선(善)임을 알(知) 수 있(可)다. 그러나(然) 그(其) 말(言)의(之) 선(善)하지 못하(未)는 것(者)에서(於) 곧(則) 숨기(隱)시면서(而) 밝히(宣)지 않(不)으셨고 그(其) 선(善)한 것(者)은 곧(則) 퍼뜨리(播)시면서(而) 숨기(匿)지 않(不)으셨다. 그(其) 넓고 크(廣大)며 밝고 환함(光明) 또한(又) 이와 같(如此)으니 곧(則) 사람들(人) 중 누가(孰) 선(善)으로써(以) 알림(告)을 즐기(樂)지 않(不)겠는가(哉). 양단(兩端)은 여러 사람들의 의견(衆論)이 같지 않음(不同)의(之) 극치(極致)를 이른(謂)다. 무릇(蓋) 모든(凡) 물(物)은 모두(皆) 양단(兩端)이 있(有)으니 소대(小大)와 후박(厚薄)의(之) 종류(類)와 같(如)다. 선(善)의(之) 안(中)에서(於) 또한(又) 그(其) 양단(兩端)을 잡(執)고(而) 측정하(量度)여 그것으로써(以) 중(中)을 고른(取) 연후(然後)에 그것(之)을 쓰(用)면 곧(則) 그(其)가 그것(之)을 고름(擇)이 자세하(審)고(而) 그것(之)을 행함(行)이 지극하(至)다(矣). 그러나(然) 자신(我)에게 있음(在)의(之) 저울과 자(權度)가 정밀하고 적절하(精切)며 어긋나(差)지 않(不)지 아니하(非)면 무엇으로써(何以) 이것(此)을 같이하(與)는가. 이것(此)이 지(知)의(之) 과불급(過不及)이 없(無)는 까닭(所以)이고(而) 도(道)의(之) 행하(行)는 까닭(所以)이다(也).

0 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