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朱子曰隨時而處中。又曰君子知其在我。故能戒謹不睹。恐懼不聞。而無時不中。小人不知有此。則肆欲妄行。而無所忌憚矣。
<직역>
주자(朱子)가 말하기(曰)를 “그때그때(隨時)에(而) 중(中)에 머문(處)다.” 또한(又) 말하기(曰)를 “군자(君子)는 그것(其)이 내(我)게 있음(在)을 안(知)다. 그러므로(故) 능히(能) 보이(睹)지 않음(不)을 경계하(戒)고 삼간(謹)다. 들리(聞)지 않음(不)을 공구(恐懼)한다. 그러니(而) 중(中)이 아닌(不) 때(時)가 없(無)다. 소인(小人)은 이것(此)이 있음(有)을 알지 못하(不知)니 곧(則) 욕망(欲)을 제멋대로 하(肆)고 함부로(妄) 행(行)하면서(而) 무소기탄(無所忌憚)한다(矣).”
<해석>
주자(朱子)가 말하기를 “그때그때에 중(中)에 머문다.” 또한 말하기를 “군자(君子)는 그것이 내게 있음을 안다. 그러므로 보이(睹)지 않음을 경계하(戒)고 삼가(謹)며 들리(聞)지 않음을 공구(恐懼)한다. 그러니 중(中)이 아닌 때가 없다. 소인(小人)은 이것이 있음을 알지 못하니 곧 욕망(欲)을 제멋대로 하고 함부로 행(行)하면서 아무 꺼릴 바가 없다.
<해설>
隨時而處中의 원문 : 隨時以處中
<원문>
〇朱子從鄭本。以漢之胡廣。唐之呂溫、柳宗元。爲小人之中庸。然小人秉德。本不得中。又不能有常。安得有中庸之名。當以王肅本爲正。
<직역>
주자(朱子)는 정현(鄭)의 책(本)을 따른(從)다. 한나라(漢)의(之) 호광(胡廣)과 당나라(唐)의(之) 여온(呂溫)과 유종원(柳宗元)때문에(以) ‘소인(小人)의(之) 중용(中庸)’으로 했(爲)다. 그러나(然) 소인(小人)이 덕(德)을 잡음(秉)은 원래(本) 중(中)을 얻(得)지 못한(不)다. 또한(又) 일정함(常)이 있(有)을 수 없(不能)다. 중용(中庸)의(之) 이름(名)이 있(有)을 수 있겠는가(安得). 마땅히(當) 왕숙(王肅)의 책(本)으로써(以) 바른 것(正)으로 한(爲)다.
<해석>
주자(朱子)는 정현(鄭)의 책을 따른다. 한나라(漢)의 호광(胡廣)과 당나라(唐)의 여온(呂溫)과 유종원(柳宗元)때문에 ‘소인(小人)의 중용(中庸)’으로 했다. 그러나 소인(小人)은 덕(德)을 잡아도 원래 중(中)을 얻지 못하고 일정함(常)이 있을 수 없으니 중용(中庸)의 이름이 있다고 할 수 있겠는가. 왕숙(王肅)의 책으로써 바른 것으로 해야한다.
<해설>
왕숙(王肅) - 정현(鄭) - 주자(朱子) : 小人之反中庸。 소인(小人)의(之) 반중용(反中庸)
호광(胡廣) - 여온(呂溫) - 유종원(柳宗元) : 小人之中庸。 소인(小人)의(之) 중용(中庸)
<원문>
〇箴曰時中者。道不可須臾離也。君子戒愼恐懼。常行愼獨之工。故處心不敢不中正。處事不敢不和平。隨時得中。無時不中。小人不知天命而不畏也。故處心或偏或陂。處事或過或差。橫恣放肆。無所不爲。斯之謂無忌憚也。
<직역>
경계해(箴) 말한(曰)다. 시중(時中)이라는 것(者)은 도(道)는 잠시(須臾)도 떠남(離)이 불가(不可)함이다(也). 군자(君子)가 계신(戒愼)하고 공구(恐懼)하며 항상(常) 신독(愼獨)의(之) 일(工)을 행한(行)다. 그러므로(故) 평소(處) 마음(心)이 중정(中正)하지 않음(不)을 감히 하지 못하(不敢)고 처사(處事)에서 화평(和平)하지 않음(不)을 감히 하지 못하(不敢)고 수시(隨時)로 중(中)을 얻(得)는다. 중(中)이 아닌(不) 때(時)가 없(無)다. 소인(小人)은 천명(天命)을 알지 못하(不知)면서(而) 두려워하지 않(不畏)는다(也). 그러므로(故) 평소(處) 마음(心)이 혹(或) 치우치(偏)고 혹(或) 기울어지(陂)며 처사(處事)가 혹(或) 지나치(過)고 혹(或) 어긋나(差)서 횡자(橫恣)하고 방사(放肆)하고 무소불위(無所不爲)한다. 이에(斯) 그것(之)을 무기탄(無忌憚)이라 이른(謂)다(也).
<해석>
경계해 말한다. 시중(時中)이라는 것은 도(道)는 잠시도 떠날 수 없다는 것이다. 군자(君子)가 계신(戒愼)하고 공구(恐懼)하며 항상 신독(愼獨)의 일을 행한다. 그러므로 감히 평소 마음(心)이 중정(中正)하지 않을 수 없고 일(事)을 처리함에서 감히 평안하지 않을 수 없고 그때그때에 중(中)을 얻으니 중(中)이 아닌 때가 없다. 소인(小人)은 천명(天命)알지 아니하면서 두려워하(畏)지 않는다. 그러므로 평소 마음(心)이 치우치기도 하고 기울어지기도 하며 일(事)을 처리함이 지나치기도 하고 어긋나기도 해서 제 멋대로 놀아 막되고 거리낌 없이 제멋대로 하고 하지 못하는 일이 없다. 이에 그것을 아무 꺼릴 바가 없(無忌憚)다고 이른다.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